2010년 이달의 토크: 창작과 표절, 그 미묘하고 난해한 지점 (파랑새와 외톨이야)


이달의 토크(9회):  창작과 표절, 그 미묘하고 난해한 지점


일시: 2010년 4월 8일 목요일 오후 5시

장소: 문화연대 강의실


토크인(人): 주몽(인디밴드 ‘와이낫’ 리더)


    창작, 모방, 그리고 표절은 참으로 난해한 관계를 지닌다. 모방은 창작을 낳고 모방과 표절은 그 경계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표절이라는 행위는 구체적인 기준이 정해지지 않았다고도 할 수 있으며, 또한 그것의 형식적 기준을 마련해야 하는지 여부자체도 논란이 된다. 그 이유는 기존의 창작물과 유사한 창작 행위로 인용과 모방, 오마주, 패러디는 그 목적과 활용에 따라 독창성과 예술성이 부여된다. 하지만 표절의 형식적 기준이 제도화 되면 이러한 독창적 창작행위들도 표절행위로 전락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또 이렇게 난해한 표절의 문제는 오늘날 저작권의 문제와 마주하게 된다.

    한국 대중문화에서 표절은 주로 대중가요를 통해서 대중들에게 인식되었는데 일일이 언급하기 힘들 정도로 많은 표절논란이 있어왔다. 그리고 이런 논란들은 종착점도 법정문제로 치닫거나, 아니면 책임 당사자가 해당 곡이나 앨범활동을 중단하거나 등의 여러 가지 지점이 존재했다. 이러한 표절논쟁의 가장 최근 사례는 바로 인디밴드 ‘와이낫’과 아이돌 밴드 ‘씨앤블루’의 표절논란이다.

    와이낫과 씨앤블루의 표절논란을 간략히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지난 2월 아이돌 밴드 씨앤블루의 “외톨이야”란 곡이 홍대 앞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인디밴드 와이낫의 “파랑새”라는 곡과 도입부와 후렴구가 유사하다는 표절논란이 제기되었고 이 논란에 대해 씨앤블루의 기획사와 “외톨이야”의 작곡자 김도훈·이상호는 표절논란 자체를 무시하는 태도를 일관했다. 논란이 가라앉지 않자 지난 3월 11일 ‘인디밴드 와이낫은’“외톨이야”의 작곡자들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현재 양 측의 대화는 마무리 되었고 법적절차만 남겨놓은 상태이다. 정보공유연대는 저작권과 표절, 그리고 문화산업의 난해한 관계들을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이 표절논란의 중심에 있는 인디밴드 와이낫의 보컬이자 리더 주몽을 초대해서 이달의 토크를 진행했다.



주요내용


*긴 시간 자연스럽게 토론이 이루어졌는데 분량상 여기서 부터는 주몽의 발언위주로 토론 내용을 재구성한 것이다. 

  

소송의 의도에 관해


주몽: 사실 금전적 이익이나 소송의 승소가 목적이 아니다. 표절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외톨이야)작곡자들은 대중과 음악을 모독한 것이고 한국 대중음악계에 일종의 경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또한 소박한 인디 뮤지션들은 이러한 표절문제에 대해서는거의 무지 하다. 김도훈(외톨이야 작곡자)은 이러한 표절논란 자체가 대두되는 것을 비웃으며 인터뷰에서 “어차피 대중들은 곧 잊는다”라고 말했다. 어떻게 그런말을 할 수 있는가. 그것은 해서는 안 되는 말이었다. 

  

표절이란 것의 기준에 관해


주몽: 표절에 대한 정확한 가이드 라인 이나 법적 기준은 없는데 “멜로디, 리듬, 화음이 유사하면 표절일 수 있다” 라는 문광부의 지침이 존재하기는 한다. 정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매우 어려운 문제이지만 나는 표절이 그 노래가 주는 심상이 같을 때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대중들이 더 민감하게 잘 느낄 수 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사실 우연으로 만들어지기도 하고 의도적일수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문제가 되는 것은 의도적으로 표절이 행해 질 때라고 생각한다.  


저작권협회에 관해


주몽: 저작권 협회는 오히려 표절문제 보다는 전달을 규제하는데 더 관심이 많다. 저작권 협회에는 진정한 저작권 보호와 전달차단을 혼동하여 문화와 예술의 전파를 차단하는 역기능이 있다. 우리 음악의 저작자인 내가 인터넷에 우리 음악이나 음악이 담긴 동영상을 올려도 제재가 된다. 저작권자의 창작물이 표절을 통해 권리가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 보다 대중들에게 전달되는 것을 규제하려고 한다. 그러다 보니 음악을 무분별하게 공장처럼 찍어내는 작곡가와 기획사들에게 유리하게 편성되어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 이다.


오늘 날 한국의 대중음악산업에 관해


주몽: 물론 지금 아이돌 가수들이 주류를 이루는데 이들은 음악의 질적으로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이 진화했다. 음향, 음질, 즉 소리의 측면으로도 외국의 댄스, 힙합음악들에 비해 떨어지지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만으로 대중음악계와 산업에 대해 긍정할 수는 없다. 이번 사건을 하나의 사례로 두자면 씨앤블루는 표절논란이 벌어졌음에도 성공한 것이다. 기획사는 아이돌 가수를 선발하는데 여러 멤버들을 구성하고 그 중 인기가 좋은 멤버들은 미디어 속에서 좋은 상품이 된다. 씨앤블루의 멤버 정용하씨는 이제 버라이어티쇼에 출연하고 있다. 또 하나의 상품이 만들어졌다. 표절문제와 상관없이 소속사는 상품을 만들면 된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음악이 어떻게 만들어 지는지, 어떻게 소비되는 지는 상관이 없다.  



정리 : 강성국(정보공유연대 활동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