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공유연대 10차 이달의 토크 “윈도우? 맥? 거침없이 코분투”

정보공유연대 10차 이달의 토크

“윈도우? 맥? 거침없이 코분투”

 

일시 : 2010년 8월 12일(목)

장소 : 문화연대 강의실

토크人 : 강분도 / 한국 우분투 커뮤니티 대표

사회 : 조동원 / 정보공유연대 운영위원

 

 

이날의 토크는 지금까지의 이달의 토크 사상 가장 많은 인원이 참석한 가운데 이루어졌다. 상당히 적극적인 토크인 강분도씨와 커뮤니티에서 함께온 몇몇 분들 그리고 정보공유연대 운영위원들과 홍보를 접하고 찾아온 분들이 함께 했다.

토크는 먼저 우분투에 대한 소개부터 시작되었다. 우분투는 남아프리카 줄루족의 언어로 외부손님이 왔을 때 그들이 접대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접대를 하더라도 그것을 배푼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정의는 넬슨 만델라가 정의한 의미이다. 그에게 우분투는 당연한 배려이고, 인류에 대한 대가 없는 사랑을 지시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우분투라는 이름 속에 이 소프트웨어가 지닌 정신이 담겨 있는듯 했다.

우분투는 2004년 10월에 처음 소개되었고, 1년에 2회에 걸쳐 새로운 버전이 나온다. 버전 이름은 년도와 월로 표기된다. 예를 들어 첫 버전은 0410 버전이고, 가장 최근 버전은 1004 버전인 셈이다. 우분투 공개 이후 처음으로 보고된 버그도 상징적이다. 1호 버그는 바로 OS에서 MS의 독점이 바로 우분투의 첫 번째 버그이다. 그것이 소프트웨어의 발전과 자유로운 공유정신 자체를 해치고 있다는 것이다.

코분투는 우분투의 한국 배포판이다. 코분투의 정신도 우분투의 정신과 맥을 같이한다. 특히 수 많은 버전 중 극한판에 다가가지 않기! 일단은 코분투에 머물기! 사용자들이 많아야 프로그램이 발전하고 이것이 코분투의 정신이라는 것이다. 강분도씨와 커뮤니티 회원들은 소프트웨어 자체가 하나의 문화이기 때문에 사용자들과 공유하는 소프트웨어 발전을 꿈꾸고 있었다. 현재 한국의 우분투 사용자는 약 10만명으로 추정된다고 한다.(물론 주 사용자만이 아니라 우분투를 설치해 보고 관심을 가진 사람까지 포함한 수치이다)

이후 여러 가지 토론이 오고 갔다.

우선 그누/리눅스에는 다양한 배포판이 있는데, 다른 판과 코분투의 관계는 어떠한가라는 질문이 제기 되었다. 이에 강분도씨는 경쟁 관계가 결코 아니며 상호 협력적 관계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그리고 이어서 코분투가 직관적인 편리함과 접근 가능성에 있어서 윈도우보다 훨씬 뛰어나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러나 리눅스 배포판인 코분투가 속칭 ‘리눅스계의 MS’라고 불리기도 한다며 조심스럽게 이야기 했다.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표준화보다는 다양화를 지향하는데, 우분투의 편리성 때문에 독점적인 효과나 표준을 선점할 수 있다는 우려의 표현이었다.

다음으로 인터넷 뱅킹 윈도우에 적합화된 환경에서 코분투에 대한 접근에 제한이 있는 것이 아니냐라는 질문에 제기되었다. 이에 대한 대답이 흥미로웠다. 강분도씨는 지금까지 금융이나 정부 관련 사이트 등이 윈도우에 적합화 되어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인정한다. 하지만 그러한 적합화 문제도 머지않아 해결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리눅스나 파이어폭스와 같은 프로그램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개발자들도 웹 표준에 대해서 상당히 고민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대중화, 안드로이드 이후 웹 개방성이 상당히 높아졌다는 것이다. 이미 우리은행 등에서 리눅스를 지원하고 있기도 하다. 강분도씨와 커뮤니티 회원들은 앞으로 2~3년 정도면 금융이나 정부 사이트도 불편없이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보았다.

이런 질문들이 오간 이후 자유로운 토론 분위기가 마련되어 코분투 커뮤니티의 자발성의 근원이나, 코분투 사용 확대를 위한 앞으로의 계획, 사용자의 모임 구성, 우분투 모임에 여성 참여 비율이 적은데에 대한 논의 등이 오고갔다. 그 중에서 흥미로운 지적은 코분투 커뮤니티 회원분의 것이었다. 아이를 키우고 있다는 그 분은 학교에서 숙제를 내 주면 꼭 한글이나 MS워드를 사용해 해오라고 한다는 것이었다. 몇 십만원짜리 프로그램을 사용해 숙제를 하게 된다면 교육에서도 기술적인 문제 때문에 가난한 사람들이나 독점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이 배제된다는 것이다. 이 문제로 학교까지 찾아가 이야기를 해보았고, 아이들이 가격이 들지 않고, 웹표준에 더욱 부합하는 워드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고 이야기 해보았지만 소용없었다고 한다. 심지어는 자신에게 특강 시간만 준다면 오픈오피스같은 쉽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강의도 할 수 있다고 했지만 그것도 성사되지 않았다고 한다.

코분투 커뮤니티의 운영 체제도 시사적인 측면이 있었다. 그 커뮤니티에는 우분투 개발에 직접 참여한 개발자는 거의 없으며, 완전히 사용자 모임이다.(물론 IT계 종사자가 반 정도를 차지 하고 있긴 하다고 한다) 이 커뮤니티는 2년에 한 번씩 대표를 새로 선출하는데 이는 투표 및 경쟁 시스템으로 진행되며, 대표 뿐 아니라 커뮤니티 회원들도 완전히 재 구성된다. 회원들은 2년이 되면 회원자격을 완전히 상실한 후에 2년 동안 활동할 의사가 있는 사람만 재 가입해 활동할 수 있다. 나름 한국에서 우분투 사용에 헌신하는(완전히 자발적으로) 사람들로 이루어진 커뮤니티인 만큼 상당한 자발성과 기여의 문화에 바탕을 두고 있는 체제인 것이다. 커뮤니티 회원 중 한 사람은 자신이 웹사이트 개발자인데 불법복제를 피해 자유소프트웨오의 사용 비중을 늘려가다가 우분투 사용자가 되었다는 사람도 있었다. 이 회원의 사례는 웹 개방성과 독점의 문제에 중요한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토크가 마무리 되어 가며, 강분도씨는 코분투 사용자들에게 한 가지 중요한 충고를 했다. 그것은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하던 컴퓨터 사용 습관을 우분투에서 적용하려 하지 말라는 점이었다. 실제로는 코분투가 직관적으로 익히기 훨씬 쉬운 것이지만, 윈도우를 사용하다 코분투를 쓰려고 하면 위도우의 기능을 계속 코분투 안에서 찾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면 코분투가 더욱 어렵고 무엇인가를 배우고 연습해야 쓸 수 있는 것이 되어버리는데, 코분투를 사용하려면 이런 습관을 버리고 그냥 자연스럽게 윈도우의 기능에서 벗어나 코분투 자체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저런 이야기가 오가며 두 시간을 쉽게 넘겨 버린 토크는 끝이 났다. 이 시간 동안 그들의 열정과 활동의 의미들을 간단하게나마 접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자유소프트웨어를 쓴다는 것, 독점으로부터 벗어난다는 것, 한국에서 그런 활동들이 얼마나 어려운가에 대한 여러 생각을 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