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럼> ‘인터넷 대란’과 자유 소프트웨어 (2003.3.6)

\’인터넷 대란\’과 자유 소프트웨어

홍성태

세계 제일의 초고속통신망을 자랑하는 한국이 세계 최초의 \’인터넷 대란\’을 겪었다. 2003년 1월 25일, 사파이어 웜이 퍼져나가 최소한 인터넷이 불통되는 초유의 사건이 일어났던 것이다.
이 웜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SQL 서버를 오염시켜서 이 서버를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들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하며, 또한 웜이 자신을 퍼트리기 위해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거의 모든 대역을 차지해서 그 네트워크로 다른 정보가 흐를 수 없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결과적으로 인터넷이 마비되는 듯한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아무튼 한국이 세계에 자랑하던 초고속통신망이 졸지에 무용지물이 되었다. 이로 말미암아 많은 피해가 속출했다. 일상적으로 이메일을 주고받거나 정보검색을 하지 못하게 된 것은 물론이고 전자상거래도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 한국의 초고속통신망은 사실 세계적 관심사였다. 그런데 그것이 일시에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한국의 초고속통신망은 다시 한번 세계적 관심사로 떠올랐다.
SQL 서버의 이 약점은 이미 2002년 7월에 발견되었으며, 이에 대해 마이크로소프트사는 패치를 만들어 배포했다. 바로 이 때문에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이번 \’인터넷 대란\’에 대해 자기네는 잘못이 없다고 주장한다. 발견된 약점을 해결할 수 있는 패치를 만들어 배포했는 데, 그걸 설치하지 않아서 발생한 문제는 어디까지나 사용자의 책임이라는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주장에 대해서는 여러 반론들이 제기되고 있다. 첫째, 값비싼 서버를 팔아치우고는 그것이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해서는 고작 패치를 배포하는 것으로 끝낼 수 있느냐는 것이다. 단순히 패치를 배포하는 것을 넘어선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반론이다. 둘째, 사후적으로 패치를 발표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다른 모든 상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질적으로 중요한 것은 하자가 없는 제품을 출시하도록 하는 것이라는 반론이다.
이런 논란은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번 \’인터넷 대란\’의 발단은 결국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특정 제품에 내장된 \’제품 하자\’ 때문에 발생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둘러싼 논란은 결국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책임에 대한 논란이며, 이로부터 비롯되는 정부의 정보화 정책에 대한 논란이다.
그런데 이 논란이 좀더 깊이있는 논쟁이 되기 위해서는 아예 관점을 바꾸어서 이번의 \’인터넷 대란\’을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다름 아니라 \’자유 소프트웨어\’의 관점이 그것이다. 다시 말해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관점이 아니라 그에 맞서서 새로운 지구적 소프트웨어 공동체를 만들고자 하는 운동을 펼치고 있는 \’자유 소프트웨어운동\’의 관점에서 이번의 \’인터넷 대란\’을 살펴보고 대안을 찾아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자유 소프트웨어\’는 크게 두가지 특징을 갖는다. 첫째, 마이크로소프트사로 대표되는 일반 상품 소프트웨어에 비해 값이 현저하게 싸거나 아예 무료이다. 둘째, 또한 일반 상품 소프트웨어가 소스코드를 공개하지 않은 \’닫힌 소프트웨어\’라면 \’자유 소프트웨어\’는 소스코드가 모든 사람에게 공개된 \’열린 소프트웨어\’이다.
이번의 \’인터넷 대란\’과 관련해서 특히 중요한 것은 \’자유 소프트웨어\’의 두번째 특징이다. \’자유 소프트웨어\’는 소스코드를 공개해서 소프트웨어가 어떻게 제작되고 작동되는지를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일반 상품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가 어떻게 제작되고 작동되는가를 비밀로 해서 막대한 이윤을 챙기고자 한다.
\’자유 소프트웨어\’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이번의 \’인터넷 대란\’은 무엇보다 일반 상품 소프트웨어의 보안 취약성이 고스란히 드러난 사건이다. 여기서 다시 주목할 것은 이번 사건이 마이크로소프트의 SQL 서버를 공격한 결과로 일어났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개인용 컴퓨터 운영체계 시장에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절대적인 독점에 대한 반감이나 저항이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에서 보자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서버 제품은 \’단힌 소프트웨어\’로서의 보안 취약성 외에도 다른 사회적 차원의 보안 취약성을 안고 있는 셈이다.
흔히 정보사회는 \’편리한 사회\’로 알려져 있지만, 이번의 \’인터넷 대란\’이 잘 보여주었듯이 위험에 \’취약한 사회\’이기도 하다. 정보통신 네트워크로 촘촘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 곳의 문제가 삽시간에 모든 곳의 문제로 확대될 개연성을 본래적으로 안고 있는 사회가 바로 정보사회이기 때문이다. \’취약한 사회\’로서 정보사회라는 관점은 다시금 \’자유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것은 소프트웨어의 모든 문제를 드러내서 모든 사람들이 함께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해 주기 때문이다.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이번에 자신들이 판매한 SQL 서버의 수보다 훨씬 많은 수의 피해가 일어났다며 이번의 \’인터넷 대란\’을 계기로 \’불법복제 단속\’을 또 다시 강조할 계획이라고 알려졌다. 반면에 하자가 있는 제품을 그대로 판매하는 명백히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을 생각은 전혀 없는 것 같다. 이 참에 정보화 정책의 근간을 \’자유 소프트웨어\’로 바꾸자. 소프트웨어는 정보사회의 하부구조이기도 하다. 이런 것을 상품으로만 다루는 것은 큰 잘못이다.
\’자유소프트웨어\’에 기반을 둔 정보사회는 \’불법복제\’ 시비에 휠쓸리지도 않고, 이번과 같은 \’인터넷 대란\’도 겪지 않을 것이다. 이런 정보사회야말로 공공성의 원칙을 충실히 지키고 있는 정보사회일 것이다.

첨부 파일 과거 URL http://www.ipleft.or.kr/bbs/view.php?board=ipleft_5&id=388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