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글 목록: admin

[보도자료]정보트러스트운동, 미디어다음과 “이제 디지털도 곧 역사가 됩니다.

정보공유연대가 몇몇 단체들과 함께 추진하고 있는 정보트러스트운동이 미디어 다음과 공동으로 온라인 켐페인을 벌이고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켐페인 사이트 주소는 http://event.media.daum.net/infotrust 입니다.

GNU GPL에 대한 빈번한 질문들

GNU GPL에 대한 빈번한 질문들(http://www.gnu.org/licenses/gpl-faq.ko.html에서 발췌)

이 번역문은 가능한 한도 내에서 대한민국 저작권법과 컴퓨터 프로그램 보호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행 대한민국 법률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내용과 용어들에 대해서는 저작권 심의 조정 위원회와 컴퓨터 법률 관련 논문들에서 제안하고 있는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GPL”은 무슨 뜻입니까?
“GPL”은 “General Public License”의 약자입니다. 가장 널리 알려진 라이선스인 GNU General Public License는 줄여서 GNU GPL이라고 부릅니다. GNU GPL을 가리키는 것이 분명할 때에는 더욱 줄여서 GPL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자유 소프트웨어란 GPL을 따르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는 것입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GNU GPL 이외에도 많은 종류의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가 있습니다. 우리는 현재까지 파악하고 있는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목록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 문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모든 사용자에게 특정한 종류의 자유를 제공하는 라이선스는 모두 자유 소프트웨어

The Internet Archive 저작권 방침(번역)

우리 모임 회원인 양희진씨가 The Internet Archive(www.archive.org)의 저작권 방침에 대한 초벌번역을 해주셨습니다.

파일로 첨부하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아카이브 사이트 중 저작권 방침에 관한 부분을 발췌 번역했습니다.
번역은 날림입니다만, 머.. 정확한 번역이 필요한 것은 아니니까, 병길씨, 성룡씨 대강 읽어보세요.

원문위치:
http://www.archive.org/about/terms.php?PHPSESSID=8c023cce08ca9b02fa0fff29d623a11a

인터넷 아카이브의 사용조건, 프라이버시 방침 및 저작권 방침

사용조건 (2001년 3월 10일)(Terms of Use)

본 사용조건계약(terms of use agreement)은 인터넷 아카이브에서 사용가능한 웹페이지 소장자료(collection) 및 다른 디지털 컨텐츠 (이하 소장자료)의 사용에 적용된다. 아카이브 페이지에 접근할 때는 이 사용조건계약이 제공될 것이다. 만일 이 조건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인터넷 아카이브의 소장자료나 웹사이트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아카이브의 소장자료 접근은 무료이며 오직 학문과 연구 목적으로만

[퍼옴]오픈소스 소프트웨어와 지적재산권 – 이철남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와 지적재산권

이철남 (seabird33@kisdi.re.kr)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목차
▣ 소프트웨어와 지적재산권
▣ OSS의 역사
▣ OSS의 정의
▣ OSS 라이센스
▣ OSS 제품
▣ 소프트웨어 산업현황
▣ OSS 비즈니스 모델
▣ 공공부문과 OSS
▣ 지적재산권의 처리
▣ 라이센스의 선택
▣ 기타 관련문제

첨부 파일
http://www.ipleft.or.kr/bbs/data/ipleft_5/Oss1.pdf

과거 URL
http://www.ipleft.or.kr/bbs/view.php?board=ipleft_5&id=214

정책토론회 공유정보영역(Public Domain)의 확대와 전자정부 요약

정책토론회 공유정보영역(Public Domain)의 확대와 전자정부

올해 12월이면 정보사회의 비젼과 원칙에 대한 선언문과 행동강령을 채택하게될 정보사회세계정상회의(WSIS, World Submit on the Information Society)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다. 지난해부터 이에 대응할 세 차례에 걸친 준비회의를 통해 선언문에 대한 초안을 논의중인데 정부와 업계, 그리고 시민사회 사이에 커다란 시각차를 보이는 몇가지 쟁점이 존재했다. 공유정보영역(Public Domain)의 확대와 지적재산권에 관련된 이슈 역시 그 중 하나다.

지난 9월 1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교육장에서는 정보공유연대IPLeft와 진보네트워크가 공동 주최하는 ‘공유정보영역의 확대’를 위한 정책토론회가 개최되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정보공유연대 IPLeft 홍성태 대표가 사회를 맡았고, 공유정보영역의 개괄적인 흐름과 사회적 의미를 진보네트워크센터 오병일 사무국장이, 공공정보에 대한 접근권과 공유정보 확대를 위한 전자정부의 역할을 함께하는 시민행동 김영홍 정보인권국장이, 마지막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이철남 연구원이 자유/공개 소프트웨어 운동의 의미와 전망에 대한 주제로

아카이브 사이트 간단한 벤치마킹

아래 인터넷 사이트의 일부 내용을 번역한 겁니다.
병길씨가 전에 언뜻 물어보았었는데….
지금도 필요한 지 모르겠네요. 추석 때 심심해서
번역하려다 다 못해서 안 보냈었는데, 마저 하려니까
필요한 것인지도 알 수 없고… 그래서 그냥 이거라도 보낼께요.
정성들여 번역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http://www.archive.org/about/about.php

아카이브 사이트에 대해 잘 알려면 여기 저기 페이지를 뒤져
보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소개글은 너무 추상적이고.
페이지 몇개 둘러본 바에 의하면 비디오파일, 음악파일 등을
많이 올려놓은 것 같더라구요. 방송되었던 것도 있고 개인이
제작한 것도 있는 듯. 저도 정확한 파악은 잘 못하겠고.
하여튼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

인터넷 아카이브에 관하여

인터넷 아카이브는 인터넷 도서관을 만들기 위해 설립된 공익적 비영리단체이다. 인터넷 도서관은 연구자들과 역사가들, 그리고 학자들이 디지털 형식의 역사적인 자료 (collections)에 영구적으로 접근할 수

[펌]사회주의 인터넷-칠레의 추억

얼마전에 소개한 정보공유의 역사를 살펴보면 1973년 스테포드 비어
에 대한 이야기가 간략하게 나와 있습니다.
http://www.dsl.org/copyleft/timeline/

스테포드 비어는 2001년인가 2002년에 이땅을 떠났는데, 그의 전 일생을
추적한다는 것은 너무나도 벅찬일이라 칠레에서 그의 실험에 대해 조사
해봤습니다. 아래글은 그것에 대한 것입니다.

———————–
사회주의 인터넷 – 칠레의 추억

기관지노힘 제39호
김해민 (노동자의 힘 회원)

사회주의 아옌데 정권

1970년 칠레에서는 새로운 실험이 시작되었다. 선거를 통해 사회당과 공
산당 그리고 일부 부르주아 정당 연합인 민중연합(Unidad Popular)의 아
옌데 후보가 36.3%를 획득하여, 결선 투표에서 당선된 것이다. 그러나 기
쁨도 잠시, 당시 아옌데 정부에 남겨진 것이라곤 파탄에 빠진 공장과 탄
광 그리고 미국의 살인적인 경제 봉쇄 정책뿐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옌데 정부는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자본주의
경제에서 사회주의 경제로 평화적 전환을 추진하였고, 이 과정에서 소련
식 중앙집권적 관료주의를 답습하지 않는 것이

소프트웨어 분야 이외에 자유 정보 운동

* 정리: 김영식님

소프트웨어 분야 이외에 자유 정보 운동을
추진하는 그룹들이 있습니다. 재미있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접속하셔서 좀 자세한 내용을 올려
주시면 도움이 될 듯합니다.

1. Open Colar Soft drink : Open colar는 벤처기업에서
자사 소프트웨어를 선전할 목적으로 시작했고 지금은 중지한 상태
이지만, 아직까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콜라 만드는 정보를 공유해서 자유롭게 콜라를 만들어 먹자는 운동입니다.
오픈콜라를 자유롭게 만들 수 있는 지침서를 참조하세요.
http://www.colawp.com/colas/400/cola467_recipe.html

2. Opencore.org : 이들은 Hardware개발을 자유/오픈 소프트웨어 운동으로
펼쳐보자는 운동입니다. 라이센스로는 OHGPL(OpenIPCore Hardware GPL)
입니다. http://www.opencores.org/OIPC/OHGPL.shtml에 접속해 보세요.

3. Simputer :Simputer는 손으로 들고 다닐 수 있게 작고 저가의 컴퓨터를 말하는데
인도와 다른 저개발국가 민중들을 위해서 Simputer

유럽 소프트웨어 특허 관련 글 (영문)

* 정보공유연대 김영식님이 찾아서 보내주신 글입니다.

첫번째 글은 (1) 소프트웨어 특허에 반대하는
10여명의 경제학자들의 열린 편지와 두번째 글은 (2) EU 인터넷 시장
및 재정 담당 위원(eurocommissioner for internal market,
customs and tax-ation)인 frits bolkestein의 Financial Times
논단(op-ed)입니다.

참고로

예전부터 frits bolkestein의 입장은
소프트웨어 특허에 대해 특별한 기술 혁신이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특허가 적용되는 대상은 머신에 탑재된 소프트웨어,
혹은 운영 체제와 연결된 소프트웨어에만 적용할 수 있게 하자고 주장한바
있고, BM특허에 대해서는 반대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글에서도 컴퓨터 프로그램은 저작권으로 충분하며, 특허에는 반대하고
있군요.

자료 출처 :www.nettime.org

(1) economists’ open lette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http://www.researchineurope.org/policy/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