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특허풀 참여 거부한 존슨앤존슨에 대한 특허풀측의 반박] 2010년 6월에 의약품특허풀(Medicines Patent Pool)이 설립된 이래 2010년 10월에 미국립보건원(NIH)가 최초로 에이즈치료제인 다루나비어(상품명 프레지스타)에 대한 특허에 대해 특허풀에 참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미 국립보건원이 다루나비어를 연구하였고 그 특허는 미국정부가 갖고 있지만 판매는 존슨앤존슨의 의약품부문 자회사인 티보텍이 하고 있다. 다루나비어의 제네릭의약품을 생산판매하기위해서는 존슨앤존슨으로부터 라이센스를 받아야 한다. 그런데 존슨앤존슨은 2011년 […]
[ MIT, 모든 강의 인터넷으로 공개]
[ MIT, 모든 강의 인터넷으로 공개] 강의공개(Open Course Ware, OCW)를 주도해온 MIT가 2012년 봄부터는 모든 강의를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전세계 누구나 원하는 사람들이 수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한다. -디지털타임즈: 인터넷만 켜면 세계석학 명강의가~
[LA에서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지적재산권에 대한 비밀협상]
[LA에서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지적재산권에 대한 비밀협상] TPP를 통해 새로운 국제적 지적재산권 집행규칙을 만들기위한 비밀협상이 1월 30일~2월 4일에 로스앤젤레스의 웨스트 헐리우드 호텔에서 진행되고 있다. Health GAP, AFL-CIO, Public Citizen 등의 노조, 사회운동단체는 2월 1일에 ‘ 공정하지 않으면 하지 말라(FAIR DEAL OR NO DEAL!)’를 요구하는 시위를 갖고, 1월 30일에는 USC University에서 ‘환태평양FTA: 태평양의 나프타?(THE TRANS-PACIFIC FTA: “NAFTA OF […]
[SOPA, PIPA에 이어 ACTA를 물리치자!]
[SOPA, PIPA에 이어 ACTA를 물리치자!] 유럽연합이 서명을 했지만 끝나지 않았다며 유럽의회 비준을 막기위한 행동이 제안되었다. 미국에서 SOPA( Stop Online Piracy Act ), PIPA(Protect IP Act)에 반대하는 온라인 시위가 있은지 몇일후 진행된 유럽연합의 ACTA서명은 소통과 혁신의 자유를 침해하는 정책을 강요하기위해 민주주의 파괴의 상징이라며 SOPA와 PIPA에 반대하는 이들의 참여를 호소하고 있다. 행동을 제안한 이들은 유럽의회 비준일정에 따라 […]
[반대 여론에도 불구, 유럽연합 ACTA에 서명]
[반대 여론에도 불구, 유럽연합 ACTA에 서명] 독일과 네덜란드 등 몇몇 국가와 전 세계 시민사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EU는 1월 26일에 도쿄에서 위조방지무역협정(ACTA, Anti-Counterfeiting Trade Agreement)에 서명했고 유럽의회의 비준절차를 남겨두고 있다. 1월 26일 거의 하루 종일 EU의회 사이트가 DDOS 공격으로 다운되었는데, 의회측은 어노니머스 그룹(Anonymous group)의 소행이라고 밝혔다. ACTA는 표현의 자유, 의약품접근권, 문화와 지식에 대한 접근권에 심각한 피해를 […]
[거대 제약회사의 특허, 줄줄이 만료 예정]
[거대 제약회사의 특허, 줄줄이 만료 예정] 화이자 등 주요 제약사의 특허가 2012년, 2013년 줄줄이 만료된다. 이에 따라 주요 의약품의 가격이 낮아질 수 있을지 기대된다. -메디팜스투데이: 높은 특허 장벽에 직면한 제약사
[데이터베이스진흥원-NHN, 공유저작물 민간활용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데이터베이스진흥원-NHN, 공유저작물 민간활용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저작권 보호기간이 만료된 공유저작물의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진흥원과 NHN이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한다. 분야별로 만료저작물을 발굴하고 저작권 권리정보를 구축하고 데이터를 디지털화할 계획이라고 한다. – 재경일보: NHN, 공유저작물 창작소재 활용 지원한다
주간정보공유동향 2012.2.2
주간 정보공유동향
2012.02.02 정보공유연대IPLeft
[국내 재벌상대 국제특허소송 급증]
[국내 재벌상대 국제특허소송 급증]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재벌기업 상대 국제특허소송이 급증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고있는 애플-삼성 사건에 이어 EU는 삼성전자의 반독점법 위반에 대한 조사 중이다. 삼성이 내세웠던 특허들이 통신 표준이 된 특허까지 포함해 삼성이 특허에 관한 권리를 남용했는지 여부가 그것이다. LG전자와 관련된 소송도 진행 중이다. 미국내 LG전자 상품의 점유율이 상승하는 것과 비례해 소송도 늘고 […]
주간정보공유동향 20120126
주간 정보공유동향
2012.01.26 정보공유연대IPLeft